BCG(결핵) 예방접종, 꼭 알아야 할 정보는?

2025. 6. 16. 20:24주사제_(Injection & IV)

반응형

💉 BCG(결핵) 예방접종, 꼭 알아야 할 정보는?

성분 분석부터 접종 방법,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

결핵은 여전히 국내에서 발생률이 높은 감염병 중 하나로, 특히 영유아기 결핵성 수막염과 전신성 결핵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증 결핵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되는 것이 바로 BCG 백신 접종입니다.

이 글에서는 BCG 백신의 성분, 접종 시기와 방법, 주의사항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 BCG 백신이란?

  • Bacillus Calmette-Guérin의 약자로, 결핵균을 약화시켜 만든 생백신입니다.
  • 접종을 통해 결핵균에 대한 면역 형성을 유도하고, 특히 결핵성 수막염·속립성 결핵 예방 효과가 큽니다.

🔬 백신 구성 성분 분석

구성 성분기능
생균 (Mycobacterium bovis) 약독화된 결핵균으로 면역 반응 유도
안정제 글리세린, 글루타메이트 등
용제 (희석액) 주사용 생리식염수
 

💡 대부분의 BCG 백신은 동결건조 형태로 공급되며, 사용 직전에 희석해 접종합니다.


📆 접종 시기 및 방법

항목내용
대상 생후 4주 이내의 신생아 (최대 12개월까지 가능)
방법 피부 내 주사(ID법) 또는 경피 접종법
권장 시기 생후 4주 이내, 결핵 검사 없이 바로 접종 가능
보건소 무료 접종 기간 생후 4주 이내 (기간 경과 시 병원 접종 필요)
 

※ 대한민국에서는 **피내용 BCG(피부 내 주사법)**가 국가예방접종으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 접종 전후 주의사항

📍 접종 전

  • 발열 또는 감염 증상이 있는 경우 접종을 연기합니다.
  • 선천성 면역 결핍증이 의심될 경우 접종을 보류하고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접종 후

  • 접종 부위가 빨갛게 부풀고 고름이 잡히며 딱지가 생긴 후 흉터로 남는 것이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 2~4주 후 발적·궤양이 나타나도 대부분은 자연 회복됩니다.
  • 접종 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짜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이런 경우 병원 방문 필요

  • 접종 부위 외 다른 림프절이 붓거나 곪는 경우
  • 고열, 지속적인 통증, 고름 배출 등이 심한 경우

🧪 BCG 백신의 흔한 이상 반응

반응설명
국소 발적·딱지·흉터 정상적인 면역 반응 과정
림프절염 드물게 겨드랑이나 쇄골 림프절이 붓는 경우 발생 가능
골염, 전신 이상 반응 매우 드물게 발생. 주로 면역 결핍 아동에서 보고됨
 

📌 정리하면

  • BCG 예방접종은 중증 결핵 예방을 위해 생후 1개월 이내 반드시 맞아야 하는 기초 예방접종입니다.
  • 동결건조 생백신인 만큼 보관과 접종 시기, 부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 대부분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회복되며, 이상 반응이 의심되면 즉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 건강 정보 고지사항

본 글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질병 진단, 치료 또는 처방을 대신하지 않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나 질병 이력에 따라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 후 예방접종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