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예방접종, 꼭 알아야 할 성분‧접종 방법‧주의사항

2025. 6. 16. 20:19주사제_(Injection & IV)

반응형

💉 B형간염 예방접종, 꼭 알아야 할 성분‧접종 방법‧주의사항

B형간염은 혈액·체액을 통해 전파되어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바이러스성 간질환입니다.
예방을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정기적 백신 접종이며, 세계보건기구(WHO)와 질병관리청 모두 필수 예방접종으로 권고합니다. 아래에서 백신 주요 성분, 접종 스케줄,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1. 백신 구성 성분 분석

구분주요 성분기능
항원 재조합 Hepatitis B surface antigen (rHBsAg) 면역반응 유도
면역증강제 알루미늄 염(Al-hydroxide 또는 Al-phosphate) 항체 형성 ↑
보존제 국내 유통 제품 중 일부는 무보존제 / 일부 수입·멀티도스 제품엔 티메로살(소량) 미생물 오염 방지
완충액·안정제 염화나트륨, 인산염, 수질 등 pH 유지 & 안정화
 

※ 국내 영·유아용 단일회(프리필드) 제품은 무티메로살 방식이 대부분입니다.


2. 기본 접종 스케줄

대상권장 시기비고
신생아 출생 직후(24 h 이내) → 생후 1 개월 → 생후 6 개월 “0-1-6” 일정
성인 (HBsAg / 항체 음성) 1차(선택일) → 1 개월 후 2차 → 6 개월 후 3차 동일 “0-1-6”
고위험군* 노출 24 h 이내 HBIG + 백신 3회 * 의료인, 혈액투석, 다출혈 시술 등
 
  • 대부분 1차 접종 4주 뒤 항체가 형성되기 시작하며, 3차 완료 후 90 % 이상 보호 효과가 나타납니다.
  • 항체 역가 < 10 mIU/mL 일 경우(예: 면역저하자) 부스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접종 전·후 주의사항

  1. 금기
    • 이전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등 중증 알레르기 이력
    • rHBsAg 또는 제빵효모(Yeast) 단백질 과민증
  2. 일시 연기
    • 38 ℃ 이상 급성 발열
    • 중등도 이상의 급성 질환
  3. 보관 & 취급
    • 2 – 8 ℃ 냉장 보관, 냉동 금지
    • 흔들어 탁한 현탁액이 고르게 섞였는지 확인
  4. 접종 부위 관리
    • 성인: 상완 삼각근(IM) / 영아: 허벅지 외측(IM)
    • 24 h 이내 가벼운 통증·발적은 냉찜질로 완화

4. 흔한 이상 반응 & 대처

빈도증상대처
흔함(> 10 %) 접종 부위 통증·발적, 미열, 피로 1–2 일 내 자연 소실
드묾(< 0.1 %) 고열(≥ 39 ℃), 두드러기, 전신 발진 해열제 복용, 필요 시 의료기관 방문
극히 드묾(1 백만 명당 수례) 아나필락시스 즉시 119 또는 응급실
 

TIP : 접종 후 15 분간 의료기관에 머물러 이상 반응 여부를 관찰하세요.


5. FAQ

  • Q. 임신 중에도 접종이 가능한가요?
    • 필요 시 2·3분기에 접종 가능하나, 필수 접종은 출산 후로 연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Q. 과거에 항체가 있었는데 사라졌어요. 다시 맞아야 하나요?
    • 일반 건강인은 추가 부스터가 필요 없으나, 의료인·투석환자 등은 항체 역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보강합니다.

6. 마무리 한 줄 요약

“B형간염 백신 3회만 제때 접종하면 간 질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본인의 건강 상태·이력에 따라 접종 시기와 부스터 필요성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상담 후 진행하세요.


⚠ 의료 면책 안내

이 글은 건강한 생활을 위한 일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의사의 진단·치료·처방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개별 상황(질환, 약물 복용 등)에 따라 접종 전 의사 또는 약사와 반드시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