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레브루티닙(Tolebrutinib) 심층 가이드

2025. 6. 19. 21:05알약, 정제_(Tablet & Pill)

반응형

🧩 톨레브루티닙(Tolebrutinib) 심층 가이드

차세대 BTK 억제제·다발성경화증(MS) 경구 후보


1. 성분∙기전 분석

항목내용
계열 Bruton Tyrosine Kinase(BTK) 억제제
화학식 C₂₃H₂₅N₅O₂F₃S (저분자)
특징 CNS 침투성 높음 → 말초 B세포+뇌·척수 미세아교세포 BTK 동시 타깃
◆ 비가역적 결합 → 지속적 신호 차단
효과 목표 염증성 탈수초 억제 + B세포/미세아교 매개 신경손상 완화
 

2. 임상‧용법(2024 기준*)

적응증임상 단계시험 용량
재발성·완만 진행형 MS Phase 3 GEMINI 1/2 60 mg 경구 1일 1회
1차 진행형 MS Phase 3 HERCULES 60 mg 1일 1회
면역탈수초 다발신경병 Phase 2 30–60 mg
 

*FDA 허가 前: 실제 라벨은 승인 후 확인 필요


3. 안전성 & 주의사항

위험군모니터링·예방
간독성 임상 일시 중단 경험(OCT 2022) → 치료 전·4주 마다 AST/ALT 검사
혈액학 BTK 억제로 감염·혈소판 저하 가능 → CBC 3개월 간격
약물상호작용 CYP3A4 주요 대사 → 케토코나졸 등 강력 억제제 병용 지양
임신 / 수유 태아 BTK 발달 위험 → 복용 전·중 1주+ 피임, 모유수유 회피
백신 반응 B세포 억제 → 생백신 X, mRNA 백신은 투여 2주 전 접종 권장
 

4. 복용 팁

  1. 음식 영향↓ 공복·식후 상관없이 고정 시간 복용
  2. 캡슐 통째로 물과 함께 삼키기, 층분·분쇄 금지
  3. 두통·피로 등 가벼운 부작용은 1–2주내 완화, 지속 시 전문의 상담

✅ 핵심 요약

“BTK 억제 + CNS 침투 = 다발성경화증의 새로운 면역조절 축”
톨레브루티닙은 허가 전임상 약물로, 실제 사용은 임상시험 참여 또는 승인 후 처방만 가능.


⚠ 건강 정보 안내

본 게시물은 건강한 생활을 위한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질환의 진단·처방·치료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BTK 억제제 복용 여부는 반드시 신경과 전문의와 상의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