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구균 백신 예방접종, 꼭 알아야 할 성분과 접종 정보

2025. 6. 16. 20:40주사제_(Injection & IV)

반응형

💉 폐렴구균 백신 예방접종, 꼭 알아야 할 성분과 접종 정보

중이염, 폐렴, 패혈증까지 예방하는 필수 백신

폐렴구균(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은 폐렴뿐 아니라 중이염, 수막염, 패혈증 등 중증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입니다.
특히 5세 미만 영유아65세 이상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는 예방접종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폐렴구균 백신의 주요 성분, 접종 시기 및 방법, 주의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


✅ 폐렴구균 백신 종류 및 특징

백신명종류특징
PCV13 (프리베나 13) 단백결합백신 13가지 혈청형 포함, 영유아·노인 모두 접종 가능
PPSV23 (뉴모23 등) 다당백신 23가지 혈청형 포함, 65세 이상 성인 대상
 
  • PCV13: 단백질과 결합된 결합백신으로 면역반응이 강력하고, 기억세포 형성 유도
  • PPSV23: 단백질 결합 없이 다당류만 포함, 고령자에게 1회 접종만으로도 단기 효과

🔬 주요 성분 분석 (PCV13 기준)

성분역할
13가지 혈청형의 다당류 항원 폐렴구균 표면 항원
CRM197 단백질 결합 백신의 면역 강화 운반체
완충제 (염화나트륨 등) pH 및 안정성 유지
보존제 대부분 무방부제 제형 (단일 용량 프리필드 주사기 형태)
 

💡 다당류 항원과 단백질을 결합시켜, 생후 2개월 이상의 유아도 면역 형성 가능


📆 접종 대상 및 일정

👶 영유아(PCV13)

접종 시작 시기권장 접종 횟수
생후 2개월 2·4·6개월 기초접종 + 12~15개월 추가 1회
생후 7~11개월 시작 2회(8주 간격) + 12~15개월 추가
생후 12~23개월 시작 2회(8주 간격)
생후 24개월 이상 미접종 1회 접종 (고위험군은 2회 고려)
 

👵 65세 이상 성인(PPSV23)

  • 1회 접종 (과거 미접종자 대상 국가 무료접종 제공)
  • 만성질환자·면역저하자일 경우 의사와 상담 후 PCV13 + PPSV23 순차 접종 가능

⚠ 접종 전후 주의사항

항목내용
금기 백신 성분(예: CRM197)에 아나필락시스 병력
일시 연기 발열, 급성 감염 상태
흔한 이상 반응 주사 부위 통증, 발적, 미열 (24~48시간 이내 소실)
드문 이상 반응 고열, 경련, 전신 발진 → 병원 내원 필요
 

💡 대체로 안전한 백신으로 평가되며, 국소 이상 반응이 가장 흔하게 보고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 Q. PCV13과 PPSV23을 둘 다 맞아야 하나요?
    → 일부 **고위험 성인(면역저하자, 비장절제자 등)**은 두 백신을 6~12개월 간격으로 순차 접종할 수 있습니다.
  • Q. 백신으로 모든 폐렴을 막을 수 있나요?
    → 아니요. 폐렴구균 외 원인(바이러스, 다른 세균 등)으로 인한 폐렴은 예방되지 않습니다.
  • Q. 영유아가 백신을 여러 번 맞아야 하는 이유는?
    → 면역이 약한 생후 초기에는 반복 접종을 통해 충분한 항체 형성과 면역 기억이 필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폐렴구균 백신은 영유아와 고령자 모두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감염병 예방 수단 중 하나입니다.”

정해진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하면 중이염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패혈증까지 폭넓게 예방할 수 있습니다.
국가 예방접종 대상자는 무료 혜택도 있으니, 주치의 상담 후 접종을 완료하세요.


⚠ 건강 정보 고지사항

본 게시글은 건강한 생활을 위한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질환의 진단, 처방 또는 치료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접종 여부는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반드시 전문의 또는 약사와 상담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